🔍 1. 뷰파인더란?
DSLR 내부의 반사경(mirror) 을 통해 렌즈가 실제 포착하는 장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.
전자식이 아닌 광학식(viewfinder)이라 실시간으로 색·초점·노출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데 유리합니다.
👁️🗨️ 2. 뷰파인더 사용 전환 방법
1. 상단 모드 다이얼에서 사진 촬영(Auto, P, Av, Tv, M 등) 모드로 전환하세요.
2. 라이브뷰(Live View) 버튼을 누르면 LCD 화면이 켜지며, 뷰파인더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됩니다.
3. 다시 뷰파인더 사용을 원하면 라이브뷰 버튼을 눌러 꺼주면 됩니다.
🎯 3. 뷰파인더 화면 구성
초점 포인트(AF points): 총 9개(중앙 + 상하좌우 및 사선 방향) 있으며, 뷰파인더를 통해 선택하거나 바디 컨트롤 키(D‑패드)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노출 인디케이터(±0): 화면 아래에 현재 노출 상태가 표시돼 적정 노출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다이옵터 조절 다이얼: 안경 착용 시에도 시야를 선명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
🛠️ 4. 초점 잡기
AF 모드: 뷰파인더 촬영 시 ‘반누름(half-press)’으로 자동초점(One Shot 또는 AI Servo)을 작동할 수 있습니다.
AF 포인트 선택: D‑패드 좌우로 이동하거나 AF 선택 버튼(Q)을 통해 포커스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.
▶️ 5. 라이브뷰와의 차이
뷰파인더는 실시간 광학 시야를 제공하는 반면, 라이브뷰는 센서 기반 디지털 영상을 LCD에 띄우는 방식입니다.
라이브뷰 모드에서는 반사경이 올라가며 뷰파인더는 검은 화면(blank)이 됩니다.
🎥 6. 동영상 촬영 시 처리 방식
동영상 촬영 시엔 반사경이 올라가 라이브뷰로 촬영됩니다. 따라서 뷰파인더는 사용이 불가합니다.
✅ 7. 사용 팁
뿌옇거나 흐리게 보이면: 다이옵터 조절 다이얼을 돌려 초점을 맞춰보세요.
조명이 어두운 환경에서는 광학 뷰파인더가 더 빠르고 직관적인 촬영을 도와줍니다.
AI Servo 모드 활용: 인물·운동 촬영 시 눈·얼굴을 지속 추적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.